본문 바로가기

ML,DL/Ops

(3)
Github Actions - CI/CD 해당 포스트는 Github에서 제공하는 Actions 공식 문서를 바탕으로 제작되었습니다. Github Actions 공식 문서 Overview Github Actions는 Github에서 제공하는 CI/CD 기능 Component Workflow workflow를 적용시키고자 하는 Repository에 있는 YAML 파일을 통해서 configurate 추가적으로, Workflow는 Repository의 .github/workflows 경로에 정의되어야 함 Workflow는 정해진 Event를 통해 실행되거나, 수동으로 실행되거나 혹은 정해진 스케쥴에 따라서 실행 가능 Event 특정 조건이 만족되면 workflow를 실행하도록 하는 Trigger Repository에 _새로운 Pull Request, ..
MLOps - 1. DB 사용하기 (feat. Docker) 본 포스트는 'MLOps for MLE'를 참고해서 공부한 내용으로 작성되었습니다. MLOps for MLE 부스트캠프때부터 engineering에 관련된 툴을 익히기 위해서 참고했던 'MLOps for MLE'에 대한 공부를 다시 진행해보려고 한다. 서비스 개발 측면에서는 아직 첫 걸음 수준이라 꾸준히 학습을 해나가려고 한다. 학습 순서는 위의 참고자료에 정리된 순서대로 진행할 예정이다. 우선, DB를 사용해보자! DB(Database)라는 말을 정말 많이 접했고 또 대략적으로는 어떤 것인지에 대해서도 알고 있지만, 프로젝트를 진행해보면서 DB에 대한 조금 더 디테일한 정보를 알고 있다면 처음 시스템을 설계하고 서비스의 목적에 맞춘 DB를 선택하는데 시간을 아낄 수 있고 더 효율적인 시스템을 구축할 수..
SaaS란? SaaS "Software as a Service" 과거에 소프트웨어를 로컬에 직접 설치해 사용했던 것과는 다르게, 벤더편에서 운영하는 소프트웨어를 사용자가 웹 브라우저를 경유해서 사용하는 형태의 Software Service를 일컫는다. 이미 지어진 집을 빌려주고 사용하는 것과 유사함 e.g. Gmail, Google docs, Microsoft Office 365 ... PaaS "Platform as a Service" SaaS와는 다르게 software를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플랫폼 즉,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기 위한 환경 자체를 제공하는 서비스 집의 틀은 갖춰놓고 그 안의 인테리어등을 스스로 하는 것 장점 이미 환경이 갖춰져 있기 때문에 개발에만 주력할 수 있음 단점 하드웨어 사양이 이미 정해져 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