로지스틱 (1) 썸네일형 리스트형 로지스틱 회귀분석 왜 '로지스틱 회귀'를 사용하는가? 종속변수가 이항분포를 따르는 범주형(Categorical) 변수일 경우 사용하는 분류기법이다. 위의 경우, 일반적인 회귀분석을 적용할 수 없기 때문이다. 종류 일반 회귀모델 로지스틱 회귀모델 결과 종속변수(Y)의 범위 -∞ ~ +∞ 0 or 1 범위 불일치 독립변수/설명변수(X)의 범위 -∞ ~ +∞ -∞ ~ +∞ 범위 일치 예) 공부시간(0~∞시간)과 시험합격여부(탈락 / 합격) 로지스틱 회귀의 원리 선형회귀에서는 회귀식을 \(Y = ax+b\) 라고 가정했다면, 로지스틱 회귀에서는 회귀식을 \(P(Y = 1)\) 로 가정한다.즉, \(P(Y = 1) = ax + b\) 이다. 위의 경우에서의 문제점은 서로 다른 범위를 가진 두 변수(종속/독립)를 하나의 함수로 연결.. 이전 1 다음